Wikipedia 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체현실게임에 대한 원문을 많이 의역, 재편집 했습니다.
목차중에서 첫번째 대체현실게임에 대한 정의와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 대체 현실 게임의 정의
대체현실게임이라는 용어의 규정과 그 범주에 무엇을 포함하고 무엇을 배제해야 하는 지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Unification’ 웹사이트의 창시자인 Sean Stacy는
" 그 장르를 규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것을 규정하지 않는 것이다" 라고 했습니다.
말그대로 엄청난 자유도가 있는 게임 형식이라는 말이겠죠. ㅋㅋ
아마도 Chris Crawford’s 와 같은 유명한 게임 디자이너에 의해서 대체현실게임이 제작된 게임을
접하게 된다면 퍼즐게임보다 쉽게 대체현실게임에 대해서 이해했을 것입니다.
![Chris Crawford Balance of Power](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en/b/b1/Balance_of_Power_Coverart.png)
원문 내용을 많이 의역하고, 짤랐습니다. 원했던 정의는 내려주지 않는군요. ㅠㅠ
1-1. 용어의 정의
다음은 대체현실게임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용어 입니다.
- 퍼핏마스터 ( Puppetmaster )
퍼핏마스터(PM)란 대체현실게임을 디자인하고 운영하는데 관계된 개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M들은 플레이어들에게 아군인 동시에 적이기도 합니다.
그들은 장애물을 만들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을 플레이어에게 제공합니다.
PM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존재(신원)를 드러내지 않고 전반적인 게임진행에 관여를
합니다. ARG 캠페인 뒤에서 캠페인을 기획/실행하는 담당자로서 ARGs의 이야기 흐름에
부합하는 다양한 단서들과 요소들을 이용해서 플레이어들을 밀고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퍼핏마스터의 단어적 의미는’꼭두각시를 놀리는 사람’ 입니다.
'The Beast' - ARG 캠페인 게임에서의 게임 운영자를 퍼핏마스터라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 커튼 ( Curtain )
커튼은 일반적으로 퍼핏마스터와 플레이어를 분리하기 위한 은유적 표현입니다.
커튼은 유저들로 하여금 퍼핏마스터가 게임진행에 관여한다는 것을 절대 눈치채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금기시) 하며, 퍼핏마스터들이 게임을 통하여 플레이어들과 직접적으로
대화하지 않으며 캐릭터나 게임디자인을 통하여 상호작용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토끼굴( Rabbithole )
ARG 캠페인에 플레이어들을 참여시키기 위한 첫번째 단서나 사이트를 지칭합니다.
- 낌새( Trailhead )
플레이어들에게 고의적으로 단서를 제공하여 게임에 접하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대체현실게임은 사람들이 게임을 발견할 가능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서 다수의 미디어에
많은 수의 trailhead를 심어놓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낚시질 이라고 표현하는게 맞는 것 같군요.
- 이것은 게임이 아니다 ( TINAG - This is not a game )
대체현실게임이 다른 게임들과 차별점은 게임과 같이 행동하지 않는 게임이라는 것입니다.
ARG에서 언급된 전화번호들은 실제적으로 통화가 가능한 것들이며, 게임은 플레이어들에게
뻔히 알 수 있는 공간이나 규칙을 제공하지 않아야 합니다.
1-2. 기존 엔터테인먼트와 유사성 및 차별성
- 컴퓨터/콘솔/비디오게임
ARG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상에서만 플레이하지 않고 유용한 매개체로써 인터넷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특별한 소프트웨어나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ARG에서
NPC(Non-Player Characters)들은 컴퓨터의 인공지능이 아닌 퍼핏마스터에 의해
실시간으로 통제됩니다.
- 역할분담게임(RPGs - Role-playing games)과 실시간역할분담게임
(Live action role-playing games LARPs)
이야기진행 형식의 ARG를 제작하는 퍼핏마스터는 RPG(역할분담게임)에서의 게임 운영자
와 상당한 유사성을 지니지만 플레이어들의 게임에서의 역할은 다릅니다.
대체적으로 대체현실게임은 특정한 규칙을 가지지 않습니다.(플레이어들은 시행착오를
통해서 게임의 규칙과 범주를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플레이어들이 역할분담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교감하게 되는 케릭터들의 허구적 요소들을
현실로 받아들이거나 인식하도록 요구하지 않습니다.
- 온라인 역할분담놀이 게임을 하는 대규모의 멀티플레이어들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s - MMORPGs)
컴퓨터게임들이나 고전적인 RPG처럼 ARG에서의 NPC들은 컴퓨터의 인공지능이 아닌
실시간으로 사람(PM)에 의해서 통제됩니다. ARG는 플레이를 위하여 특별한 소프트웨어나
인터페이스를 요구하지 않으며 플레이어로 하여금 RPG속에 등장하는 케릭터나 아바타를
만들 것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또한 ARGs는 일반적으로 그들의 스토리(이야기)를 홍보하기
위하여 인터넷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나 현실세계의 사건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 입소문마케팅/인터넷장난들 ( VIRAL marketing / internet hoaxes )
대체현실게임이 종종 바이럴 마케팅으로써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 바람잡이들로 하여금
또 다른 개인의 소비자를 설득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를 주입시키는"sponsored consumers"
의 이면에 감춰진 기존의 바이럴 마케팅 철학과는 판이하게 구분됩니다.대체현실게임에서는
요구하는것이 무엇인지를 사이트나 이야기를 통하여 플레이어들에게 확신할 수 있도록 명확
하게 전달합니다. 퍼핏마스터들은 게임의 가상과 현실세계에서 획득할 수 있는 (혹은 눈치챌
수 있도록 하는) 단서들을 남겨놓습니다.그 곳(온라인, 오프라인)에서 플레이어들은 단서들
을 발견할 수 있고, 이러한 일련의 플레이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널리 전파될 수 있는 특징
을 가지고 있습니다.
1-3. 영향력과 선점성
커튼과 TINAG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사전에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프로모션
(판촉게임물)의 대상을 퍼핏마스터들은 암묵적인 협의를 통해 “은밀한 작업”이라는 이름으로 비밀
로 붙임으로써, 플레이어들이 보다 흥미롭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게임을 디자인 합니다.
여기에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풍부한 예술적 형태들과 작품요소들이 혼재 되도록 합니다.
1-3-1.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가능성
아래 기사와 내용은 독창적인 내용 또는 검증되지 않은주장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G.K.Chesterton's 의 1905년의 단편소설인 "The Tremendous Adventures of Major Brown
" ( The Club of Queen Trades 를 제목으로 하는 모음집의 일부 ) 는 John Fowles 의
1965년 소설인 The Magus 와 더불어 ARG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Delany's 의 공상과학소설인 Triton(1976년에 발행된) 에서의 연출자들은 ARG의 형태를
연출한 것으로 보이며, 인기있는 Choose Your Own Adventure 아동소설 같은 본문들은
약간의 영감을 제공한 듯 합니다.
- AOL's QuantumLink Serial 과 같은 온라인 소설은 ARG의 그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이야기
전개 속으로 독자들을 참여시키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Wizard of the Coast's Webrunner 게임과 같은 판촉용 온라인게임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위와 같이 이전에 시도됐던 여러 작품들 속에서 대체현실게임과 유사한 연출을 포함하고, 다양한
종합예술적 형태로 표출되며, 이러한 작품들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직접적으로 청중과
교감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The Beast 는 제작자들이 개발내용에 대하여 공개함으로써 현대의 대체현실게임 발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전에 시도됐던 작품들의 연출보다 발전된 형태의 대체현실게임으로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들은 Elan lee를 통해서 영화에서도 인용됩니다. (1997년 영화 The Game 뿐만 아니라
the Beatles ,Paul is Dead)
또한, 유명 RPG 회사인 FASA의 주요 연출자인 Sean Stewart는 ARG에 대해서
"'ARG를 디자인하고 운영하는 것은 RPG와 유사하다."
" 창조적이고 협조적이며, 열성적으로 찾아 헤매는 형태의 게임" 이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
다음회는 Wikipedia 에 있는 대체현실게임의 기본개발원리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